유방암 정보
현재까지 유방암 발병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된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완전한 예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위험인자를 피하는 생활습관이 어느 정도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는 있을 것이다.
실생활에서 많이 언급 되는 몇 가지 유방암 관련인자들의 위험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 유방암에서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들>
미국암학회 유방암백서 2011-2012
상대적 위험도 | 인자 | |
4.0 < | 65세 이상의 나이 비정형과증식증 등 병변이 있는 경우 BRCA1 또는 BRCA2 등의 유전자가 확인된 경우 유방암 과거력이 있는 경우 | |
2.1 - 4.0 | 체내 에스트로겐 또는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은 경우 폐경 후 골농도수치가 높은 경우 흉부에 고농도의 방사선 조사력이 있는 경우 부모 자매 간 유방암환자가 2명 이상인 경우 | |
1.1 - 2.0 |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 12세 이전의 초경 키가 매우 큰 경우 사회경제적으로 상위에 위치한 경우 초산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55세 이후의 폐경 최근에 경구 피임약을 복용한 경우 모유 수유 경력이 없는 경우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 폐경기 이후 비만 및 과체중인 경우 부모 자매 간 유방암환자가 1명 있는 경우 자궁내막, 난소 및 대장암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오랜 기간 호르몬 요법을 시행한 경우 |
유방암 정보
현재까지 유방암 발병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된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완전한 예방법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위험인자를 피하는 생활습관이 어느 정도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는 있을 것이다.
실생활에서 많이 언급 되는 몇 가지 유방암 관련인자들의 위험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 유방암에서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들>
미국암학회 유방암백서 2011-2012
상대적 위험도 | 인자 | |
4.0 < | 65세 이상의 나이 비정형과증식증 등 병변이 있는 경우 BRCA1 또는 BRCA2 등의 유전자가 확인된 경우 유방암 과거력이 있는 경우 | |
2.1 - 4.0 | 체내 에스트로겐 또는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은 경우 폐경 후 골농도수치가 높은 경우 흉부에 고농도의 방사선 조사력이 있는 경우 부모 자매 간 유방암환자가 2명 이상인 경우 | |
1.1 - 2.0 |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 12세 이전의 초경 키가 매우 큰 경우 사회경제적으로 상위에 위치한 경우 초산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55세 이후의 폐경 최근에 경구 피임약을 복용한 경우 | 모유 수유 경력이 없는 경우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 폐경기 이후 비만 및 과체중인 경우 부모 자매 간 유방암환자가 1명 있는 경우 자궁내막, 난소 및 대장암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오랜 기간 호르몬 요법을 시행한 경우 |
유방암 예방을 위한 수칙 (미국암학회 암백서 2011)
⦁ 건강한 식이 및 육체 활동
⦁ 생활 속에서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라
신체 활동과 함께 균형 잡힌 칼로리 섭취
과도한 체중 증가를 피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
⦁ 신체적으로 활동적인 생활 습관을 가져라
성인 : 일상적인 활동 외에 일주일에 5회 이상 적절한 운동 실시 (45분에서 한 시간 가량의 신체 운동이 바람직)
소아/청소년 : 일주일에 적어도 5일, 하루 한 시간 적절한 운동
출처: 한국유방암학회, 유방암백서(2022)
한국유방건강재단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105길 6-5, 6층(역삼동)
TEL : 02-558-3901 ㅣ E-MAIL : rosie98@bizmeka.co
COPYRIGHT ⓒ 2014 BY KBCF ALL RIGHTS RESERVED.